노자하상공장구 속 겸손함을 더한다.
제22장 겸손함을 더함[益謙]
굽히면 온전해지고 자신을 굽히고 대중을 따르며 제멋대로 하지 않으면 온전해진다.
曲則全 曲己從衆, 不自專則全.
구부리면 곧아지며 (원문) ‘枉(왕)’은 ‘구부리다’는 뜻이다. 자신을 구부리고 남을 펴주면, 서서히 자기 자신이 저절로 곧아지게 된다.
枉則直 枉, 屈也. 屈己而伸人, 久久而自得直已.
움푹 파이면 가득 채워지고 땅이 낮게 파이면 물이 몰려오며, 사람이 자신을 겸손히 낮추면 덕이 몰려온다.
窊則盈 地窊下, 水歸之; 人謙下, 德歸之.
낡으면 새로워지며 스스로 낡음과 얇음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뒤로하고 남을 앞세우면, 천하 사람들이 공경하여 서서히 저절로 새롭게 된다.
敝則新 自受弊薄, 後己先人, 天下敬之, 久久自新之也.
적어지면 얻게 되고 스스로 적음을 받아들이면 많은 것을 얻게 된다. 하늘은 겸손한 자를 돕고, 귀신은 비우는 자를 채워준다.
少則得 自受少則得多也. 天道祐謙, 鬼神益虛.
많으면 미혹된다. 재산이 많은 자는 재산을 지키는 데서 미혹되고, 학문이 많은 자는 들은 바의 지식에서 미혹된다.
多則惑. 財多者, 惑於所守; 學多者, 惑於所聞.
그러므로 성인은 ‘일(一)’을 지킴으로써 천하의 본보기가 된다.
(원문) ‘抱(포)’는 ‘지키다’, ‘式(식)’은 ‘본보기’라는 뜻이다. 성인은 ‘일’을 지키니, 이에 온갖 일들을 잘 알게 된다. 그러므로 세상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
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 抱, 守也; 式, 法也. 聖人守一, 乃知萬事. 故能爲天下之法式.
(성인은) 자신의 눈으로 보지 않기에 밝게 알고 성인은 천리 밖을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게 아니라, 세상 사람들의 눈에 의지해 본다. 그러므로 (세상일을) 훤히 꿰뚫어 볼 수 있는 것이다.
不自見故明 聖人不以其目視千里之外, 乃因天下之目以視. 故能明達.
스스로를 옳다 하지 않기에 드러나며 성인은 스스로를 옳다 여기지 않고 남을 그르다 비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세상에 드러날 수 있는 것이다.
不自是, 故彰 聖人不自以爲是而非人. 故能彰顯於世矣.
스스로 취하지 않기에 공이 있고 (원문) ‘伐(벌)’은 ‘취하다’는 뜻이다. 성인은 자신의 덕에 의한 교화가 널리 미치더라도 스스로 그것의 ‘아름다움’을 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세상에 공이 있게 되는 것이다.
不自伐故有功 伐, 取也. 聖人德化流行, 不自取其美. 故有功於天下.
스스로를 위대하다고 여기지 않기에 길이 살 수 있다. (원문) ‘矜(긍)’은 ‘위대하다’는 뜻이다. 성인은 스스로를 귀하다거나 위대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래 살 수 있고 위태롭지 않다.
不自矜故長 矜, 大也. 聖人不自貴大. 故能久不危.
무릇 성인은 다투지 않기에, 세상에서 아무도 그와 다툴 수 없다.
이것은 세상의 어진 자나 그렇지 않은 자나, 다투지 않는 자와는 다툴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夫惟不(矜)〈爭〉, 故天下莫能與之爭. 此言天下賢與不肖, 無能與不爭者爭.
옛날의 이른바 ‘굽히면 온전해진다’는 말이 어찌 헛된 말이겠는가? 전해오는 옛 말에 (자신을) 굽히고 (남을) 따르면 온전해진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바른 말이지 헛된 말이 아니다.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傳古言曲從則全, 正言非虛也.
그러므로 자기 몸을 온전히 보전하여 부모님에게 되돌린다. (원문) ‘誠(성)’은 ‘실하게 하다’는 뜻이다. 자신을 굽히고 남을 따를 수 있는 자는 자신의 신체를 실하게 하여 그것을 부모에게 되돌린다. 다치거나 손상됨이 없다는 것이다.
故誠全而歸之. 誠, 實也. 能行曲從者, 實其肌體, 歸之於父母. 無有傷害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