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참동계 16~18장 중권 의上篇 『 上篇은 모두 四章으로 되어 있으며 御政을 말하고 있다. 上卷의 十五章이 御政, 養性, 伏食 三篇으로 나누어져서 藥物, 爐鼎, 火候의 세 요령에 응하고 있어 金丹 大道에 그 이상 더 남은 것이 없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만 그 體의 측면에서 합치고 묶어 거느리는 면 만 들..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5~7장 제 5장 君臣御政 (군신어정) 『 이 장은 임금과 신하가 뫼시고 다스리는데 있어서의 得과 失로써 金丹의 火候에 있어서의 得과 失에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 可不愼乎 (가불신호) 신중하지 않아서 되겠는가 御政之首 (어정지수) 나랏일을 다스리는 첫째는 管括微密 (관괄미밀) 묶어야 할 ..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3~4장 제 3장 日月合符 (일월합부) 『 이章에서는 해와 달의 功用에 대하여 특별히 밝히고 藥物이 생겨 나오는 곳을 연구하고 있다 』 易者象也(역자상야) 역이란 象(모양, 모습)이다 懸象著明(현상저명) 象이 나타나서 뚜렷이 밝은 것으로는 莫大乎日月(막대호일월) 해와 달보다 더 큰 것이 없는.. 주역 2018.02.02
오래 기다렸습니다. {정통명리학연구원 반월당 상담소 개소식} 긴 시간을 학문에만 심취하셨던 정통명리학연구원 최종민 원장이 丁酉年 새벽 닭의 홰치는 소리와 함께 대구시의 중심상권 반월당에 상담소를 개소하였습니다. 그동안 많은 분들이 개인 상담을 하고자 하였으나 학문 정진에 매진하였지만 이제는 움켜지는 것이 아니고 펼쳐야 한다는 .. 정통명리학연구원 2017.02.16
중국인들은 새해가 되면 '해마다 물고기가 있으라'는 의미의 '년년유어(年年有魚) ▲ 魚 물고기 어(魚)는 갑골문에서 보듯 물고기의 입과 몸통, 지느러미와 비늘을 표현한 상형자인데 꼬리지느러미를 불 화(火)로 표현했다가 ‘?’으로, 간체자에서 가로획으로 변했다. ▲ 魚 물고기 어(魚)는 갑골문에서 보듯 물고기의 입과 몸통, 지느러미와 비늘을 표현한 상형자인데.. 중국문화 2017.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