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참동계 간략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제 1 장 건곤문호(乾坤門戶) 乾坤者 易之門戶 衆卦之父母 坎離匡郭 運轂正軸 牝牡四卦 以爲橐籥 覆冒陰陽之道 猶工御者 準繩墨 執銜轡 正規矩 隨軌轍 處中以制外 數在律歷紀 月節有五六 經緯奉日使 兼幷爲六十 剛柔有表裏 朔旦屯直事至暮蒙 當受..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33~36장 제 33장 爐鼎妙用 (노정묘용) 『 이 章은 하늘의 궤도를 한 바퀴 도는 法과 象으로서 火候의 모든 功을 비유하여 가르치고 있다. 비록 火候를 말하고 있지만 爐와 鼎, 藥과 物이 모두 그 가운데 갖추어져 있어 參同契 전체를 끝맺는 글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앞의 두 券에서 御政, 養性, 伏食..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27~32장 제 27장 制鍊魂魄 (제련혼백) 『 이 章은 日이라는 魂과 月이라는 魄의 둘이 서로 제어하여 金丹을 이룸을 말하고 있다 』 坎男爲月(감남위월) 坎이라는 남자는 달이 되고 離女爲日(이녀위일) 離라는 여자는 해가 된다 日以施德(일이시덕) 해로써 덕을 베풀고 月以舒光(월이서광) 달로써 빛..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16~18장 중권 의上篇 『 上篇은 모두 四章으로 되어 있으며 御政을 말하고 있다. 上卷의 十五章이 御政, 養性, 伏食 三篇으로 나누어져서 藥物, 爐鼎, 火候의 세 요령에 응하고 있어 金丹 大道에 그 이상 더 남은 것이 없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만 그 體의 측면에서 합치고 묶어 거느리는 면 만 들..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13~15장 제 13 장 祖述三聖 (조술삼성) 『 이 章에서는 세분 옛 聖人의 易을 말하여 大道를 밝혀내고 있다 』 若夫三聖(약부삼성) 세 분 성인을 말한다면 不過伏羲(불과복희) 복희를 지나지 못하니 始畵八卦(시화팔괘) 처음으로 팔괘를 그려서 效法天地(효법천지) 하늘과 땅의 이치를 본받은 것과, ..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5~7장 제 5장 君臣御政 (군신어정) 『 이 장은 임금과 신하가 뫼시고 다스리는데 있어서의 得과 失로써 金丹의 火候에 있어서의 得과 失에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 可不愼乎 (가불신호) 신중하지 않아서 되겠는가 御政之首 (어정지수) 나랏일을 다스리는 첫째는 管括微密 (관괄미밀) 묶어야 할 .. 주역 2018.02.02
주역참동계 3~4장 제 3장 日月合符 (일월합부) 『 이章에서는 해와 달의 功用에 대하여 특별히 밝히고 藥物이 생겨 나오는 곳을 연구하고 있다 』 易者象也(역자상야) 역이란 象(모양, 모습)이다 懸象著明(현상저명) 象이 나타나서 뚜렷이 밝은 것으로는 莫大乎日月(막대호일월) 해와 달보다 더 큰 것이 없는.. 주역 2018.02.02
중국인들은 새해가 되면 '해마다 물고기가 있으라'는 의미의 '년년유어(年年有魚) ▲ 魚 물고기 어(魚)는 갑골문에서 보듯 물고기의 입과 몸통, 지느러미와 비늘을 표현한 상형자인데 꼬리지느러미를 불 화(火)로 표현했다가 ‘?’으로, 간체자에서 가로획으로 변했다. ▲ 魚 물고기 어(魚)는 갑골문에서 보듯 물고기의 입과 몸통, 지느러미와 비늘을 표현한 상형자인데.. 중국문화 2017.01.26
자귀나무꽃이 피었습니다 여름을 알리는 여러가지 소식들이 있지만 저는 자귀나무 가지에 달린 분홍빛의 비단실 같은 자귀나무 꽃을 보면 음~ 완연한 여름이군 생각을 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것으로 여름을 아시나요?^&^ 자귀(佐槐)나무에 관한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옛날 부인들은 남편이 술과 바람으로 자주 .. 나의 이야기 2014.06.11